석사 과정
- 윤리인성교육 전공
- 초등국어교육 전공
- 초등사회과교육 전공
- 초등수학교육 전공
- 초등과학교육 전공
- 초등체육교육 전공
- 초등음악교육 전공
- 미술심리 및 미술교육 전공
- 초등실과환경교육 전공
- 초등영어교육 전공
- 초등컴퓨터교육 전공
- 초등특수교육 전공
- 교육행정 및 교육정책 전공
- 교육과정과 수업컨설팅 전공
- 유아 및 아동교육 전공
- 교육공학 및 HRD 전공
- 상담심리 전공
- 교육실천철학 및 교육복지 전공
- 교육심리 및 학습컨설팅 전공
- 융합영재교육 전공
- 조형창작교육 전공
- 아동문학교육 전공
- 다문화교육 전공
- 문예창작·스토리텔링 전공
- 뇌기반 특수체육 전공
- AI교육 전공
- 국제교육(IB) 전공
- 진로진학컨설팅 전공
- AI학습플랫폼 전공
- 기초학력교육 전공
- 늘봄학교 지도사 교육 전공
- 스포츠건강관리 전공
최준섭
- 전화053-620-1417
- 이메일jschoi@dnue.ac.kr
- 연구실위치인문사회관 510호
- 담당과목- 집단상담 : 집단 리더로서 집단 구성원들의 변화(대인관계, 부적응적 사고와 행동 등)를 돕는 역량을 향상하기 위한 강좌임. 집단상담의 개념과 의의, 목표, 과정, 그리고 집단지도자의 역할과 기술 등에 대해 주로 실습을 통해 학습함.
- 심리검사 : 내담자를 이해하고 상담의 효과를 평가하는 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상담도구로서의 심리검사의 개념, 성질, 해석, 활용 등에 대해 다루는 강좌임.
- 상담실습 및 사례연구 : 상담의 이론과 실제를 적용하여 종합적 상담 실습(2종 이상, 총 20시간 이상)을 실시하고 수퍼비전(상담실습계획서, 중간보고서, 상담실습결과보고서)을 통해 상담실천가로서의 역량을 신장시키는 데에 목적이 있는 강좌임.
- 이상심리 : 내담자가 보이는 이상심리(불안, 우울, PTSD, 섭식장애 등)의 특징과 원인을 이해하고 상담적 개입전략을 다루는 강좌임. - 연구분야- 아동·청소년의 심리정서문제 이해와 상담적 개입
- 초등학생의 생활경험 및 발달 특성
- (예비)교사의 학교상담 역량 향상을 위한 학교(학급) 현장 이해 - 홈페이지https://dnue.ac.kr/jschoi
선영운
- 전화053-620-1413
- 이메일yseon@dnue.ac.kr
- 연구실위치인문사회관 518호
- 담당과목- 진로상담 : 진로상담의 이론, 과정, 기법을 이해하고, 상담 및 학교 현장에서 진로상담을 효과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전문적 역량을 기른다.
- 학교부적응상담 : 상담이론 및 연구 기반의 사례개념화 능력과 고급상담기술을 발전시킴으로써 학교 부적응 학생을 효과적으로 상담할 수 있는 전문적 역량을 갖춘다. - 연구분야아들러심리학, 학교 괴롭힘, 학교 소속감, 삶의 의미, 안녕감
이민혜
- 전화053-620-1409
- 이메일minhyelee@dnue.ac.kr
- 연구실위치인문사회관 517호
- 담당과목- 학교폭력예방 및 학생의 이해 : 학교폭력의 예방 및 대책은 학교폭력의 이해, 학교폭력의 예방, 학교폭력의 대처방안 등 학교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실제적 내용을 중심으로 운영된다. 세부적인 내용으로 학교폭력의 이해에서는 학교폭력의 현주소, 학교폭력의 개념, 학교폭력의 대책 모형들에 대해 알아보고, 학교폭력의 예방에서는 학생이해와 학교교육의 변화,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인성 교육, 학교폭력의 조기 감지와 예방을 다룬다. 또한 학교폭력의 개입과 대처에서는 학교폭력 상담, 유형별 학교폭력 개입 전략, 학교폭력에 대한 법적 조치, 학교폭력과 교사 등에 대해 살펴보고, 학교폭력의 대응사례에서는 국내의 학교폭력의 대응 사례, 외국의 학교폭력 대응 사례 등을 다룬다.
- 연구분야학습동기, 자기조절학습, 교실 중재 프로그램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