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사 과정
- 윤리인성교육 전공
- 초등국어교육 전공
- 초등사회과교육 전공
- 초등수학교육 전공
- 초등과학교육 전공
- 초등체육교육 전공
- 초등음악교육 전공
- 미술심리 및 미술교육 전공
- 초등실과환경교육 전공
- 초등영어교육 전공
- 초등컴퓨터교육 전공
- 초등특수교육 전공
- 교육행정 및 교육정책 전공
- 교육과정과 수업컨설팅 전공
- 유아 및 아동교육 전공
- 교육공학 및 HRD 전공
- 상담심리 전공
- 교육실천철학 및 교육복지 전공
- 교육심리 및 학습컨설팅 전공
- 융합영재교육 전공
- 조형창작교육 전공
- 아동문학교육 전공
- 다문화교육 전공
- 문예창작·스토리텔링 전공
- 뇌기반 특수체육 전공
- AI교육 전공
- 국제교육(IB) 전공
- 진로진학컨설팅 전공
- AI학습플랫폼 전공
- 기초학력교육 전공
- 늘봄학교 지도사 교육 전공
- 스포츠건강관리 전공
고선미
- 전화053-620-1371
- 이메일kohdiva@dnue.ac.kr
- 연구실위치예술관 401호
- 담당과목- 가창지도법 연구 : 가장 중요한 활동인 가창을 지도하기 위한 지도 능력의 습득과 지도법의 이해 및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이 과정을 성공적으로 이수하기 위해서는
1. 발성의 원리를 이해한다.
2. 가창법의 학습과정을 이해한다.
3. 다양한 가창 지도법에 대해 분석하고 이해한다.
- 합창지도 : 시대별, 종류별 여러 합창과 내용학에 대하여 다루게 된다. 작품분석과 교수자료를 통한 연구와 교수방법을 개발하고 초등학교에서 적용하는 능력을 기른다. - 연구분야성악
최미영
- 전화053-620-1373
- 이메일choimiyoung@dnue.ac.kr
- 연구실위치예술관 406호
- 담당과목- 음악교육 세미나 : 음악교육의 철학적, 역사적, 심리학적 기초이론을 배운다. 음악교육 과정, 음악 교수법, 음악교육 평가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수업에 적용한다.
- 음악교수법 : 음악교육에서의 교수 방법, 교수내용, 교재개발 등에 대하여 연구하고 음악 수업에 적용하는 방법을 다룬다.
- 음악교육연구 : 음악교육연구의 문헌고찰, 자료 수집 및 처리, 기초 통계과정,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의 방법, 연구결과의 분석과 해석에 대하여 이해하고 이를 적용하는 능력을 기른다. - 연구분야음악교육
황대진
- 전화053-620-1376
- 이메일djwhang@dnue.ac.kr
- 연구실위치예술관 402호
- 담당과목- 음악기초 양식론 및 지도법 : 음악이론의 시대적 변화에 따른 양식 및 지도법을 탐구하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접근 및 모방을 가능하게 한다.
- 지휘법 : 합주 및 다른 여러 음악 장르의 지휘 기술에 대하여 음악과 함께 연구하며 현장에서 적용하게 한다. - 연구분야지휘, 비올라
이영주
- 전화053-620-1378
- 이메일yjlee@dnue.ac.kr
- 연구실위치예술관 403호
- 담당과목- 합창지도 : 시대별, 종류별 여러 합창과 내용학에 대하여 다루게 된다. 작품분석과 교수자료를 통한 연구와 교수방법을 개발하고 초등학교에서 적용하는 능력을 기른다.
- 음악 감상문헌 : 시대별, 종류별에 따라 여러 음악을 감상한다. 작품분석과 교수자료를 통한 연구와 교수방법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능력을 지도한다. - 연구분야성악, 합창지휘
정효성
- 전화053-620-1372
- 이메일hyosung3340@dnue.ac.kr
- 연구실위치예술관 404호
- 담당과목- 국악교육론 : 국악교육의 학적, 문화적 기초를 배우고 수업에서의 적용방법을 연구한다. 또한 국악실기 지도법, 국악교육 교수내용, 교재개발, 평가 등을 연구하고 방법을 개발한다.
- 국악교재연구 : 전통음악의 학문적 토대를 마련하고 새로운 교수방법, 교수내용, 교재개발 등에 관하여 연구하여 국악수업에서 적용하는 방법을 개발한다.
- 국악장단지도법 : 한국전통음악의 정통성과 서양음악의 이론비교 등을 통하여 국악장단에 관한 지도법을 습득하고 초등학교 현장교육에 이를 적용하는 능력을 기른다. - 연구분야가야금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