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사 과정
- 윤리인성교육 전공
- 초등국어교육 전공
- 초등사회과교육 전공
- 초등수학교육 전공
- 초등과학교육 전공
- 초등체육교육 전공
- 초등음악교육 전공
- 미술심리 및 미술교육 전공
- 초등실과환경교육 전공
- 초등영어교육 전공
- 초등컴퓨터교육 전공
- 초등특수교육 전공
- 교육행정 및 교육정책 전공
- 교육과정과 수업컨설팅 전공
- 유아 및 아동교육 전공
- 교육공학 및 HRD 전공
- 상담심리 전공
- 교육실천철학 및 교육복지 전공
- 교육심리 및 학습컨설팅 전공
- 융합영재교육 전공
- 조형창작교육 전공
- 아동문학교육 전공
- 다문화교육 전공
- 문예창작·스토리텔링 전공
- 뇌기반 특수체육 전공
- AI교육 전공
- 국제교육(IB) 전공
- 진로진학컨설팅 전공
- AI학습플랫폼 전공
- 기초학력교육 전공
- 늘봄학교 지도사 교육 전공
- 스포츠건강관리 전공
교육과정
구분 | 교과명 | 학기-학점 | 비고 |
---|---|---|---|
계 | 27 | ||
전공필수 | 실과교육과정론 | 1-3 | |
실과 교수-학습이론 | 2-3 | ||
실과교육 연구방법론 | 3-3 | ||
전공선택 | 실과교육의 철학과 역사 / 실과교육 교재 개발 / 농업생명과학 특론 / 가정과 학교에서 가드닝 / 동물매개치료 및 원예치료 | 1-3 | 택 1 |
영양교육론 / 인간과 동물 / 실과교육과 통계 / 아동요리 & 푸드 스타일링 / 음식문화의 이해 | 2-3 | 택 1 | |
초등기술학 특론 / 실과교육평가 / 생활자원과 관리특론 / 디자인과 목공 / 생활예절교육 | 3-3 | 택 1 | |
조리과학연구 / 생활공작 특론 / 노작교육 이론 / 의생활교육론 / 천연염색과 규방공예 / 소잉 & 스타일링 / 유기농업의 이해 / 친환경 생활 | 4-3 | 택 2 | |
실과교육 세미나 / 정보사회와 컴퓨터 특론 / 소비경제 연구 / 가족생활교육프로그램 개발 / 진로발달 이론 | 5-3 | 택 1 | |
논문 | 논문 | P/F |
교과목 개요
전공필수
-
실과교육과정론(Curriculum in Practical Arts Education)
01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실과교육의 기초, 본질, 목적 및 목표, 교육과정의 변천 과정 및 현행 교육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고, 실과교육의 내용 선정 및 조직에 대하여 연구한다. 특히 학교 단위의 실과 교육과정의 재구성 및 계획 수립, 특별활동 및 재량시간을 통한 실과교육의 프로그램 개발 및 지도 실제를 탐구한다.
-
실과 교수-학습이론(Teaching and Learning of Practical Arts)
02실과교과를 지도하는데 효과적인 교수-학습 이론 및 모형에 대한 교육 철학적 및 심리학적 기초 지식을 학습하고 아동의 인지 발달과 개념 형성 과정을 이해하여 실과교과 수업 지도에 활용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
실과교육 연구방법론(Research Methodology in Practical Arts Education)
03실과육의 제반 문제 및 현상을 과학적으로 연구하기 위하여 필요한 연구 계획 및 설계, 표집 방법, 도구 개발, 자료 수집 절차, 결과 분석 및 해석, 보고서 작성 등을 교육한다. 이에 따라 수강생들은 지식과 적용력을 길러 학위 논문 작성 및 현장 연구 능력을 배양한다.
전공선택
-
실과교육의 철학과 역사(Philosophy and History of Practical Arts Education)
01실과교육의 철학적 기초 탐구와 실과교육의 출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 및 세계적인 변천 과정을 고찰하여 그 역사를 조명하고 앞으로의 실과교육에 대한 조망 한다.
-
실과교육 교재 개발(Instructional Materials for Practical Arts Education)
02초등학교 실과교육과정에 제시된 실과교과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요구되는 효과적이고 재미있고 흥미 있게 실과 교재 및 교구 개발의 전 과정을 학습하고, 실제적으로 실과 교수 및 학습 과정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농업생명과학 특론(Advanced Agriculture & Life Science)
03농업의 중요성을 인식시키는 과목으로 농업생명산업을 통한 윤택한 인간 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실천적 방안과 교육내용 및 지도법을 연구․개발한다.
-
가정과 학교에서 가드닝(Gardening in the Home & School)
04가정과 학교에서 실천적 지식, 체험활동 및 창조적 노작활동 등을 가능하게 하는 가드닝(Gardening)의 이론과 실제를 학습한다.
-
동물매개치료 및 원예치료(Animal Assisted Therapy & Horticultural Therapy)
05생명체와의 능동적인 교감을 통한 지속가능한 삶을 영위하는 방법을 탐구한다. 어린이부터 노인에 이르기까지 심신의 치료와 재활을 위한 보조치료와 대체요법을 학습한다.
-
영양교육론(Theories in Nutritional Education)
06식생활에 관련된 이론과 실습을 통하여 학교교육에서의 아동의 식생활 교육을 연구한다. 이 강좌에서는 아동의 식생활 특성의 이해와 식생활 지도법에 초점을 두고 영양과 식품섭취, 식생활관리, 식생활문화 등을 내용으로 다룬다.
-
HAPNB 교육(Human-Animal-Plant-Nature Bond Education)
07인간과 동식물의 적절한 상호작용을 이용한 교육방법은 아동들의 사회성과 인성 교육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이 교과목을 통해서 인간과 동물 및 이들의 주변 환경을 건전하게 연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적합한 관리 및 보전을 위한 실천적인 방안과 지도방법을 연구·개발한다.
-
실과교육과 통계(Statistics in Practical Arts Education)
08실과교육에 관한 각종 통계 자료의 이해 및 해석, 통계적 자료 제시 방법, 실과교육의 측정 도구 개발 및 연구에 필요한 통계적 지식 및 기법을 익히고 실습하여 수강생의 통계적 적용 기술과 연구 능력을 배양한다. 특히 SPSS 통계 패키지를 이용한 초급 통계 및 중급 통계를 이용한 자료 분석 기법과 실제를 지도한다.
-
아동요리 & 푸드 스타일링(Cooking for children & Food Styling)
09요리를 통하여 오감을 자극 발달시킴과 동시에 상상력, 창의력을 향상시키며 정서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아동 요리 교육 프로그램을 기획, 개발, 운영, 지도, 평가할 수 있는 전문성을 증진시킨다. 또한 요리는 단순히 맛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시각적인 미에 의해 좌우되므로 조리와 디자인 능력을 바탕으로 스타일링 분야에 대한 역량을 키우도록 한다.
-
음식문화의 이해(Introduction to the Food Culture)
10음식과 문화와의 관계, 생활 속에서의 음식 문화의 가치 등을 이해하고, 각 나라의 자연적, 사회적 환경과 음식문화의 특징, 각 민족의 음식문화 형성 과정을 학습하여 음식을 바라보는 통찰력을 기른다.
-
초등 기술학 특론(Advanced Elementary School Technology)
11실과교육에서의 기술적 영역의 학문적 배경을 이해하고 실생활에 실제로 적용시키기 위해, 기술 전반에 걸쳐 기초이론지식과 문제접근을 포함한 합리적인 연구 방법을 배운다.
-
실과교육 평가(x-x-evaluation in Practical Arts Education)
12초등학교 실과 교과에 제시된 교육 목표에 기초하여 학생들의 인지적, 정의적, 심리 운동적 영역의 측정 및 평가에 대한 관련 이론을 학습하고 실제적인 평가 도구의 개발 및 적용 능력을 배양한다.
-
생활자원과 관리 특론(Advanced Management of Life Resources)
13초등교육과 관련하여 생활자원의 가치인식과 체계화된 관리의 이론과 실제를 연구하여 사회와 학교에서 합리적인 생활자원의 관리를 실천하고 교육하는 능력을 배양하는 교과이다.
-
디자인과 목공(Design & Woodworking)
14친환경 재료인 목재의 특성을 최대한 살려 각종 생활용품을 새로운 조형 감각과 기능적 안목으로 디자인함으로써 창조적인 디자인 능력을 계발하는데 교육의 목표를 둔다.
-
생활예절교육(Courtesy & Manners Education)
15예절의 의미와 개인생활, 가정생활, 학교생활, 사회생활, 전통생활 등에서의 예절의 실제적인 측면을 수업과 생활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전문성을 증진시킨다.
-
조리과학 연구(Studies in Food Preparation)
16인간 생존의 기본이 되는 식생활을 식품, 영양, 조리, 식품위생, 식이요법 등 여러 측면의 이론과 실제를 연구하고, 간단한 실험실습을 통하여 식품의 조리과학 원리를 이해시켜 사회와 학교 현장에서 올바른 식생활 문화를 실천하고 전수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
생활공작 특론(Advanced Life Working)
17목공작 설계 및 제작, 전기 및 전자기술에 대한 기초 및 응용이론들을 이해, 적용, 연구하며, 실생활에 필요한 기본적인 능력을 배양하고, 또한 노작체험활동을 통하여 문제 해결력과 생활력을 기를 수 있도록 교수학습지도 및 연구를 한다.
-
노작교육 이론(Theory of Work Experience)
18초등실과교과의 배경이 되는 노작교육 이론을 연구하여 초등학생들에게 일의 세계를 인지하고 탐색할 수 있는 능력, 그리고 초등교육 현장에서의 노작 활동의 계획 및 수행 능력을 배양한다.
-
의생활교육론(Theoris in Clothing & Textile Education)
19의생활에 관련된 제 이론과 실습을 통하여 학교교육에서의 아동의 의생활교육을 연구한다. 이 강좌에서는 아동의 의생활 특성의 이해와 의생활 지도법에 초점을 두고 피복재료, 의복구성, 의복관리, 의생활문화 등을 내용으로 다룬다.
-
천연염색과 규방공예(Natural Dyeing & Gyubang Craft)
20천연염색 및 규방공예의 역사와 과학적 원리를 바탕으로 작품제작활동을 해봄으로써 천연염색 및 전통규방용품의 제작 및 지도능력을 함양한다.
-
소잉 & 스타일링(Sewing & Styling)
21손바느질 및 기계바느질로 생활소품 및 의류를 제작하고 스타일링 해봄으로써 바느질을 이용한 작품제작과 스타일링 및 지도 능력을 함양한다.
-
유기농업의 이해 (Understanding in Organic Farming)
22대표적 친환경 식품으로 알고 있는 유기농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친환경 식품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할 수 있다. 유기농산물의 장단점, 생산, 유통, 이용 등에 대한 올바른 지식과 태도를 갖게 하여 친환경 식생활의 기반을 세울 수 있다.
-
친환경 생활(Eco Friendly Living)
23구동안 우리가 알고 있던 친환경 의생활과 주생활에 대한 오해와 진실을 구분하여 진정하게 친환경 생활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현대 생활에 있어서 이슈가 되고 있는 새집증후군, 치톤피드, 친환경 생활 용품 등에 대해 보다 과학적이고 깊이 있는 이해를 통해 친환경 생활에 대한 올바른 태도를 형성한다.
-
실과교육 세미나(Seminar in Practical Arts Education)
24실과교육에 관한 국내외적인 최근 동향을 파악하여 실과교육 및 연구에 도움이 되는 기본적인 아이디어를 설정하고 실과교육 전문가와의 토론 및 비판을 통하여 의사 소통 및 연구 능력을 기른다.
-
정보사회와 컴퓨터 특론(Advanced Computers in Information Society)
25정보화 시대의 컴퓨터 활용을 위한 다양한 시스템적 특성과 이론, 지능적 교수 학습을 위한 인공지능 시스템과 원격 교육을 위한 분산 환경 시스템 연구 및 실습, 소프트웨어 설계 및 구현 방법, 최신 프로그래밍 언어의 분석 및 구문 연구 등을 다루고 또한 초등 컴퓨터 교육에 관한 교수-학습을 연구하여 초등 교사의 전문성을 신장하는데 목적을 둔다.
-
소비경제 연구(Studies in Consumer Economics)
26경제의 기본 운영 원리를 이해하고 그 원리를 소비 생활에 응용할 수 있는 방법과 또한 경제 이론이 현실 사회에 어떻게 응용되고 있는지를 교수함과 동시에 합리적이고 창의적인 경제 생활 과정을 영위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도록 한다.
-
가족생활교육프로그램 개발(Program Development in Family Life Education)
27가족생활교육의 중요성 및 내용에 대해 고찰하고 초등학생을 위한 가족생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실시 및 평가에 대해 논의한다.
-
진로발달 이론(Theory of Career Development)
28초등학생의 진로발달에 관련된 제 이론들을 연구하여 초등학생의 진로지도를 수행할 수 있는 기초를 닦고 실제 진로지도 및 상담 능력을 배양한다.
전공 특성화 사업
- 실과환경교육전공 석사 학위 과정을 이수하면 Neo Tech, 아동진로, 아동바느질, 아동원예, 아동요리 관련 분야의 전문강사로 활동할 수 있다.
- 초등 실과 환경 관련 현장 체험 및 실험·실습 중심 교육을 실시한다.
- 전문성 신장 및 연구능력 향상을 위한 세미나 및 위크숍을 연 1회 이상 개최한다.
- 해외 자매대학과 초등학교 방문을 통한 국제적 이해를 향상한다.
기타
- 실과 환경 교육에 관심이 있는 일반인도 지원 가능
- 아동 생활 교육 관련 자격증 취득 기회 제공